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세종특별자치시 행복도시세종

국가시범도시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는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서 시민이 주도적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데 참여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지속가능한 도시입니다.

추진연혁

  1. 012018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선정
  2. 072018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기본구상 발표
  3. 122018 세계 최초 스마트시티 국제인증(ISO37106, 영국BSI)
  4. 072020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공사 착수
  5. ~2023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주민 입주

대상지

세종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위치는 세종시 합강리 일원, 대상지 면적은 약 83만평, 대상지 사업비는 1조 5천억원(~23년)입니다. 세종스마트 시티 국가시범도시는 5-1생활권으로 선도지구를 바탕으로 스마트리빙 Zone, 혁신벤처스타트업 Zone으로 구성되며, 자율주행 셔틀노선과 스마트 퍼트스타운이 주변에 있습니다.

세종 스마트시티 7대 혁신 요소

  • 모빌리티 : 퍼스널모빌리티·차량 공유 서비스, 자율주행, 통합모빌리티, 스마트주차 등
  • 교육/일자리 : 스마트학습공간(온, 오프라인) 에듀테크, 학습체제(IB)도입, 생애 교육서비스 등
  • 에너지/환경 : 신재생에너지 공급, 에너지 자립도시, 융복합 충전인프라 등
  • 안전/생활 : 도시 범죄예방 서비스, 스마트 생활편의 서비스,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등
  • 문화/쇼핑 : 공연자-관객 맞춤연계서비스, 가변형 공연문화공간 구축, 스마트 통합배송 서비스 등
  • 거버넌스 : 시민참여형 의사결정 시스템 제공
  • 헬스케어 :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AI기반 응급의료시스템, 스마트홈 주치의 서비스 등

국가시범도시 핵심 추진 전략

스마트규제혁신지구 지정

  • 민간기업이 규제제약 없이 다양한 스마트 혁신기술과 서비스를 실험해볼 수 있도록 규제혁신지구 지정추진
스마트규제혁신지구 지정 안내 : 지정범위, 사업 종류, 사업 분야, 특례 기간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정 범위 세계 최초, 민간 주도형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사업 종류
  • (스마트실증사업) 스마트혁신기술·서비스 시험·검증
  • (스마트혁신사업) 안전성 측면에서 검증된 스마트혁신기술·서비스의 상용화
사업 분야 스마트시티 산업 관련 全분야(모빌리티, 헬스케어, 에너지 등)
특례 기간 6년(기본 4년 + 필요시 2년 연장)

민·관 SPC(특수목적법인) 설립

  • 세계 최초, 민간 주도형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SPC 설립(세종시 / LH / 민간기업)
민간기업 주도로 SPC가
스마트시티 기획 구축, 혁신서비스 제공
  • 스마트시티 서비스 발굴
    • 민간 혁신 창출로 시민체감형 공공 서비스 도입
  • 스마트시티 특화단지 조성
    • 지속성장 가능한 스마트시티 조성 관리 운영 모델 수립
  • 레퍼런스 창출
    • 국내 표준 모델 확산 및 해외 스마트시티 미래 시장 개척
  • 국가정책 정합
    • 국가 스마트도시 가치계승 및 산업 활성화 지원

국가시범도시 서비스 종류

데이터 활용 기반 융복합서비스 제공

  • 데이터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플랫폼 도시 조성
AI데이터허브(도시데이터)와 디지털트윈(도시정책), 7대 혁신 요소로 세종 스마트시티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 첨단 기술의 Test bed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