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세종특별자치시 행복도시세종

재난대비

재난의 유형

우리나라는 재난의 유형을 자연 재난, 사회 재난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자연 재난

  • 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대설, 한파, 낙뢰, 가뭄, 폭염, 지진, 황사, 조류 대발생, 조수, 화산활동, 소행성·유성체 등 자연우주물체의 추락·충돌,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사회 재난

  •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항공사고 및 해상사고를 포함한다)·화생방사고·환경오염사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피해와 에너지·통신·교통·금융·의료·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감염병 또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른 가축전염병의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

재난행정 조직

  • 우리나라 재난행정 조직은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국민안전처 재난안전 기능을 행정자치부와 통합하여 행정안전부로 변경되었습니다.
  • 우리 시는 재난관리과를 신설(’18. 8월)하여 선제적인 재난예방 및 대응시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재난정책 추진내용

자연 및 인적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

  • 주기별, 유형별 자연재난을 사전에 분석, 관계기관 합동으로 선제적 대응
  • 각 재난별 사전점검 및 대책회의, 종합대책 마련·시행
  • 재난 발생 시 피해 주민 긴급 지원 등 시책 추진

사회재난 예방 및 대응체계 구축

  • 각종 사회재난에 따른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및 현장통합지원본부 운영
  •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총괄 관리 및 점검·보완
  • 재난관리기금 및 재해구호기금 조성·운용

지진재해 대응역량 강화 및 안전한 지하관리

  •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및 성능평가 추진(내진율 향상)
  • 지진옥외대피장소 운영 및 관리
  • 지진대피 훈련 및 교육 추진 등

재난대비 상황관리체계 구축

  • 재난안전종합상황실 24시간 가동 및 도시통합정보센터 CCTV와 연계한 실시간 모니터링 추진
  • 기상관측기기, 재해문자전광판 등 재난 예·경보시스템 확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