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세종특별자치시 행복도시세종

행정연혁

세종특별자치시는

우리나라 중앙 내륙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다. 따라서 옛날부터 행정구역이 차령산맥과 금강을 경계로 하여 전의 연기 금남 지역으로 구분 발전해 오다 근세 교통이 발달하면서 통합되었다.

'창조와 도전의 미래전략도시 세종'

시민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가겠습니다.

2000 ~ 현재
  • 현재1읍 9면 12동(행정동)으로 조정되었으며 동쪽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쪽은 충청남도 공주시, 남쪽은 대전광역시, 북쪽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접하고 있음
  • 2022.07.01.예정지역 5개 리(세종‧한별‧누리‧다솜‧용호) 동 전환완료
  • 2021.해밀동, 반곡동 개청
  • 2020.07.15.예정지역 4개 리(해밀‧산울‧집현‧합강) 동 전환완료
  • 2020.다정동 개청
  • 2017.~2018.고운동, 보람동, 새롬동, 대평동, 소담동 개청
  • 2012.~2016.한솔동, 도담동, 아름동, 종촌동 개청
  • 2012.07.01.세종특별자치시 출범
  • 2010.12.27.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공포
  • 2006.12.21.행복도시 명칭 ‘세종특별자치시’ 확정
  • 2005.05.18.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공포
1990 ~ 1999
  • 1995.02.28.동면 갈산1,2리를 청원군 부용면에, 청원군 강외면 심중1,2리를 전동면에 ’95. 3. 1일자로 편입
  • 1995.01.01.소정면을 신설하였으며 시·도간 관할구역 변경등에 관한 법률 제4,802호에 의거
  • 1994.11.28.동면 응암 1,2,3리를 응암 1,2,3,4리, 고등1,2리의 11개리를 편입함
  • 1993.12.18.조치원읍 원리를 원1·2리, 침산리를 침산1·2로, 신안1·2리를 신안1,2,3리로 하여 조정됨
  • 1992.01.20.전의면 영당 1·2리를 영당리로 하여 196개 행정리
  • 1990.07.20.197개 행정리
1980 ~ 1989
  • 1988.05.01.조치원읍의 19개동을 리로 명칭 변경하여 191개 행정리로 조정하였고 행정능률과 주민 편의를 위하여 자연의 촌락을 기준으로 함
  • 1987.07.01.서면의 봉암1,2리. 와촌1,2,3리. 월하3리, 부동리를 서면 봉암출장소 신설과 동시에 관할구역으로 편입됨
  • 1987.07.01.지방자치법 제10조의 규정 및 연기군 읍·면출장소 설치
  • 1987.01.01.대통령령 제 12007호(86. 12. 23공포)에 의거 전동면의 신방리, 영당리, 양곡리, 달전리, 금사리, 다방리를 전의면에 편입함
  • 1986.10.03.지방자치법 제10조의 규정 및 연기군 읍·면출장소 설치
    86. 10. 30 의거 전의면의 소정리, 대곡리, 운당리를 전의면 소정출장소 신설과 동시에 관할구역으로 편입함
1900 ~ 1979
  • 1973.07.01.대통령령 제 6542호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공주군 반포면, 도암, 성덕, 영곡 3개리를 금남면에, 장기면의 나성, 송원 2개리를 남면에 편입하여 1읍 6면 106동리로 구성됨
  • 1940.07서면의 신동, 내창, 번암, 동리의 4개 동리를 조치원읍으로 편입시킴
  • 1931.04면제 개정에 따라 조치원읍을 신설하므로 1읍 6면 101동리를 관할하게 됨
  • 1920면제개정에 따라 북면의 일부를 조치원 면으로 하고, 그 나머지 일부를 서면에 속하게 함과 동시에 조치원면을 지정 면함
  • 1911군청을 구읍지인 연기리로부터 조치원으로 이전하게 됨
  • 1909군면의 폐합에 따라 전의군의 7개면 전부와 공주군 28개리와 양야리면 36개리와 반포면 20개리와 천안군 소동면의 5개리와 회덕군 구즉면의 신달전,신동리 일부와 충청북도 청원군 서강외 일하면의 4개리를 병합하여 동, 서, 남, 북, 금남, 전의, 전동의 7개 면을 두게 됨
1500 ~ 1899
  • 1895 (고종 32년)전국 지방 관제를 개정함에 따라 각각 군이라 칭하고 군수를 두게 되었음
  • 1685복구하여 이내 연기현이라 이르게 됨
  • 1680 (숙종 6년)읍인만설의 모역벌주로 인하여 문의에 속하였음
1000 ~ 1499
  • 1416 (태종 16년)각각 환원
  • 1414 (태종 14년)연기현을 합하여 전기현함
  • 1406 (태종 6년)연기에도 따로 감무를 둠
  • 1413 (태종 13년)예에 따라 현감으로 하였음
  • 1395 (조선 태조 4년)전의에 감무를 두었음
  • 1172 (명종 2년)감무를 따로 두었으나 뒤에 다시 목주감무로 겸임케 함
  • 1018 (현종 9년)연기현과 함께 청주에 예속되었음
삼국시대 ~ 고려시대
  • 고려 때전의현으로 고침
  • 통일신라전의지방이 대록군의 속현으로 금지라 하였고 연기현은 연산군에 속하여 이때부터 연기라 이름하됨
  • 삼국시대백제의 영토에 속하여 전의지역은 대목악군의 구지현 연기 지역은 일모산군내 두잉지현이었고 금남 지역은 웅진의 강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