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세종특별자치시 행복도시세종

세종글꽃체(서체/폰트)

세종글꽃체란?

  • ‘시민’교사의 문해교육을 통해 ‘시민’의 손끝에서 꽃피운 서체를 나눕니다.
  • ‘세종글꽃체’는 세종시문해교육센터의 ‘세종글꽃서당’ 성인 문해교육 학습자 ‘홍죽표’ 어르신의 손글씨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서체(폰트)입니다.
  • 한글 11,172자, 영문 94자(Basic Latin), 특수문자 986자(KS 심볼), 세종시 상징물 특수문자(캐릭터, CI) 21자를 지원합니다.
세종글꽃체 이미지 세종글꽃체 이미지

저작권

  • 세종글꽃체의 지식재산권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유로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 및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및 이용 지침」에 따라 누구나 무료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다만 세종글꽃체를 유료로 양도하거나 판매하는 등 상업적 행위는 금지하고 있으며, 변형하여 재배포하는 등의 변형 행위 또한 금지하고 있습니다.

※ 출처 표시 안내

인쇄‧출판물, 안내판, 누리집(홈페이지), 블로그 등 제작물에 사용하실 때 저작권자를 밝히고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 이 게시글은 세종글꽃체를 사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세종글꽃체 내려받기

Windows 사용

  • 1. 세종글꽃체 TTF 파일 내려받기
  • 2.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해당 파일을 선택, 설치 버튼 클릭
    또는, 해당 파일을 글꼴폴더(C: > windows > Fonts)로 이동(드래그)하여 설치

Mac 사용

  • 1. 세종글꽃체 OTF 파일 내려받기
  • 2. 해당 파일 더블클릭, 서체설치 버튼 클릭
    또는, 해당 파일을 글꼴폴더(사용자 > 라이브러리 > Fonts)로 이동(드래그)하여 설치

세종글꽃체의 탄생과정

1

문해교육 진행

'21년 4~6월

세종시문해교육센터
‘세종글꽃서당’ 교육

2

손글씨 선정

'21년 7월

후보 3작 중 한글사랑위원회
최종 1작 선정

3

디지털 서체로 개발

'21년 7월~

서체(폰트) 전문업체 개발

4

서체명 ‘세종글꽃체’ 선정

'21년 12월

시민공모(세종글꽃체, 비단누리체, 세종다솜체, 세종꽃가람체, 혜안체 등 16개의 이름 접수) ‘상징성, 대중성, 독창성, 발음 용이성’ 기준 유관부서 1차 심사로 10작 선정 한글사랑위원회 심사, “세종글꽃체”로 최종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