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대 영역 | 주요 내용 |
---|---|
① 외부환경과 시설 (Outdoor spaces and buildings) |
야외 환경과 공공건물 등을 포괄하며, 도시 기반시설의 안전성, 편리성, 접근성 향상으로 삶의 질 제고 |
② 교통수단편의성 (Transportation) |
이용이 쉽고 저렴한 대중교통 편의 환경 구축을 통해 고령자의 사회 참여 및 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 |
③ 주거환경안정성 (Housing) |
고령친화적 주거시설의 구조, 디자인, 위치, 비용 및 공공서비스 설계를 통해 편안하고 안전한 삶 구현 |
④ 여가 및 사회활동 (Social participation) |
고령자의 가족․ 사회․문화․ 종교․ 여가활동을 위한 접근성, 행정·정보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사회적 소속감 증대 |
⑤ 사회참여와 및 일자리 (Civic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
고령자의 욕구에 따른 인적자원 개발, 자원봉사 및 취업기회의 제공·확대를 통한 시민 참여활동 독려 및 지역사회 공헌 구현 |
⑥ 사회적 존중 및 통합 (Respect and social inclusion) |
고령자 공공이미지 향상을 위해 초중등 교육내용 반영 및 대중언론 매체 활용, 지역사회 내 고령자 욕구에 따른 역할 강화 등을 통해 세대간 통합 제고 |
⑦ 의사소통 및 정보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고령자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정보제공체계 구축 및 접근성 강화를 통해 사회적 활동 및 인간관계 활성화 |
⑧ 건강 및 지역사회 돌봄 (Community support and health services) |
고령자를 위한 지역사회서비스 및 의료서비스의 충분성, 적절성, 접근성, 질적 강화를 통해 고령자의 건강 및 자립 증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