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세종특별자치시 행복도시세종

연도별 정보화 시행계획

게시물 검색
2022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10.

비전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20 중점이행과제, 49 기본이행과제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20중점이행과제, 49 기본이행과제
전략 목표 1.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Beautiful life)
2.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Engagement of people)
3.최첨단 ICT기반 구축
(Smart technology)
4.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Bright Tomorrow)
중점 이행 과제 1-1 맞춤형 시민정보화 교육 추진 2-1 디지털 주민직접참여 플랫폼 운영 3-1 디지털트윈 핵심 기술 개발 4-1 국가시범도시 스마트서비스 제공
1-2 공공와이파이 확대 설치 2-2 공공마이데이터 민원서비스 운영관리 3-2 전자고지 서비스 운영관리 4-2 공간정보 통합 플랫폼 시범 구축
1-3 지능형CCTV선별 관제시스템 구축 2-3 세종통계포털 시스템 운영관리 3-3 사이버침해대응 보안관제 고도화 및 확대 4-3 스마트시티 국제인증 유지
1-4 영상정보(CCTV) 인프라 구축 2-4 사회적경제기업 온라인 플랫폼 운영 3-4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 추진 4-4 공공데이터 개방 및 품질관리
1-5 장애인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 2-5 세종 사랑방 맵 유지·관리 3-5 스마트마을방송 시스템 운영 4-5 중요기록물 DB 구축 및 공개 재분류
기본이행과제 22개 과제 8개 과제 12개 과제 7개 과제

추진사업 현황

사업 총괄

  • (대상사업) 69건 / (소요예산) 21,537백만원

(단위 : 백만원)





























추진사업 현황
구 분 신규사업 계속사업 유지관리
사업 건수 69건 5 41 23
소요예산(억원) 21,537 1,118 14,042 6,377

※ 2022년도 세종특별자치시 전체 예산 1조 9,262억원의 1.1% 수준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구 분 합 계 국 비 LH 등 시비
합 계 21,537 4,906 920 15,711
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6,527 1,056 920 4,551
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407 50 - 357
최첨단(ICT) 기반 구축 7,951 3,800 - 4,151
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6,652 - - 6,652

2021년도 정보화 추진계획 9.

비전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20중점이행과제, 61 기본이행과제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20중점이행과제, 61 기본이행과제
전략 목표 1.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Beautiful life)
2.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Engagement of people)
3.최첨단 ICT기반 구축
(Smart technology)
4.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Bright Tomorrow)
중점 이행 과제 1-1.5G 기지국 조기구축 2-1.주민직접참여형 자치입법 플랫폼 구축 3-1.민간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및 전환 4-1.공공데이터 제공 활성화 및 품질 관리
1-2.공공 와이파이 확대 설치 2-2.정책고객소통 시스템 운영 및 이용 활성화 3-2.온-나라 2.0 문서관리시스템 전환·구축 4-2.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1-3.시민 평생학습 지원체계 구축 2-3.사회적경제기업 온라인 플랫폼 구축 3-3.. 5G 기반 업무망 구축 4-3.스마트 농정관리 시스템 운영
1-4.세종시립도서관 정보시스템 구축 2-4.농촌 테마공원 도도리파크 조성사업 3-4.스마트 홍수관리 시스템 구축 4-4.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조성
1-5.청소년센터 홈페이지 구축 2-5.드라이브스루 운영체계 프로그램 개발 3-5.디지털 트윈 연구 4-5.스마트시티 국제 인증 유지
기본이행과제 22개 과제 8개 과제 13개 과제 18개 과제

추진사업 현황

사업 총괄

  • (대상사업) 81건 / (소요예산) 44,470백만원































추진사업 현황
구 분 신규사업 계속사업 유지관리 전년대비
사업 건수 81건 15 34 32
소요예산(억원) 44,470 6,049 31,594 6,827 전년 대비 17.5% (6,612백만원) 증가

※ 2021년도 세종특별자치시 전체 예산 1조 8,173억원의 2.4% 수준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구 분 합 계 국 비 LH 등 시비
합 계 44,470 23,194 918 20,358
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10,422 1,382 918 8,122
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914 50 - 864
최첨단(ICT) 기반 구축 11,480 7,479 - 4,001
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21,654 14,283 - 7,371

2020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8.

비전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22중점이행과제, 65 기본이행과제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22중점이행과제, 65 기본이행과제
전략 목표 1.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Beautiful life)
2.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Engagement of people)
3.최첨단 ICT기반 구축
(Smart technology)
4.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Bright Tomorrow)
중점 이행 과제 1-1.5G 기지국 조기구축 2-1.주민자치프로그램 관리시스템 구축 3-1.클라우드 도입 기본계획 수립 4-1.스마트시티 국제 인증 유지
1-2.공공 Wi-Fi 설치확대 2-2.공공급식지원센터 통합수발주관리시스템 기능개선 및 고도화 3-2.스마트워터 시티 구축 시범사업 추진 4-2.디지털 트윈 연구
1-3.스마트안심 서비스 운영 2-3.스마트 시민소통채널 시스템 운영 관리 3-3.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운영 4-3.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1-4.시민 평생학습 지원체계 구축 2-4.정책고객 소통시스템 운영 관리 3-4.스마트시티 포털시스템 운영 4-4.공공데이터 제공 활성화 및 품질관리
1-5.세종행복교육지원센터 통합시스템 운영 3-5.스마트시티 지능형 통합인프라관리 시스템 운영 4-5.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1-6.도시통합정보센터 관제상황실 운영 3-6.증강현실(AR) 기반 모바일 관광플랫폼 운영 4-6.항공사진 및 3차원 건축관리 시스템 구축
기본이행과제 32개 과제 2개 과제 8개 과제 23개 과제

정보화 예산 현황

사업 총괄

  • (대상사업) 87건 / (소요예산) 37,858백만원































정보화 예산 현황 사업 총괄
구 분 신규사업 계속사업 유지관리 전년대비
사업 건수 87건 5 45 37 10건 증가
소요예산(억원) 37,858 402 29,994 7,462 6,741백만원 증가

※ 2020년도 市 전체 예산 1조 6,050억원의 2.4% 수준(순수 시비는 0.97%)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구 분 합 계 국 비 LH 등 시비
합 계 37,858 17,329 4,890 15,639
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9,958 3,004 830 6,124
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347 - - 347
최첨단(ICT) 기반 구축 7,126 2,455 260 4,411
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20,427 11,870 3,800 4,757

2019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7.

비전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18개중점이행과제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18개중점이행과제
전략 목표 1.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Beautiful life)
2.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Engagement of people)
3.최첨단 ICT기반 구축
(Smart technology)
4.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Bright Tomorrow)
중점 이행 과제 1-1.시민 평생학습 지원체계 구축 2-1.스마트시티 리빙랩 프로젝트 추진 3-1.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4-1.스마트시티 국제인증 유지
1-2.행복교육지원센터 통합시스템 구축 2-2.시민소통채널 시스템 운영 3-2.스마트시티 포털시스템 구축 4-2.디지털 트윈 연구
1-3.도시통합정보센터 관제상황실 운영 2-3.정책고객 소통 시스템 운영 3-3.스마트시티 지능형 통합인프라관리 시스템 구축 4-3.빅데이터 분석 과학적 시정지원
1-4.행복맘터 서비스 구축 및 운영 3-4.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관광플랫폼 구축 4-4.행정시스템 빅데이터 저장소 구축
1-5.무료공공 Wi-Fi 확대 3-5.스마트워터 시티 구축 4-5.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정보화 예산 현황

사업 총괄

  • (대상사업) 77건 / (소요예산) 311억 원































정보화 예산 현황 사업 총괄
구 분 신규사업 계속사업 유지관리 전년대비
사업 건수 77건 9 45 23 26건 증가
소요예산(억원) 311억 원 32 221 58 82억 원 증가

※ 2019년도 市 전체 예산 1조 5,516억원의 2.0% 수준(순수 시비는 1.2%)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구 분 합 계 국 비 LH 등 시비
합 계 31,117 4,280 8,540 18,297
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10,815 1,973 - 8,842
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1,317 - 1,250 67
최첨단(ICT) 기반 구축 10,115 2,205 3,490 4,420
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8,870 102 3,800 4,968

2018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6.

비전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20개중점이행과제














































B·E·S·T 스마트시티 세종 4대 전략목표 20개중점이행과제
전략 목표 1.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Beautiful life)
2.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Engagement of people)
3.최첨단 ICT기반 구축
(Smart technology)
4.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Bright Tomorrow)
중점 이행 과제 1-1.행복맘터앱 서비스 구축 2-1.시민소통채널시스템 운영 3-1.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 4-1.행정 IDX플랫폼 서비스 기반구축
1-2.작은 도서관육성시범지구지정·지원 2-2.정책고객 소통시스템 운영 3-2.스마트시티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4-2.빅데이터 분석 과학적 시정지원
1-3.무료공공 Wi-Fi 확대 2-3.로컬푸드직매장 운영 3-3.스마트시티 포털시스템 구축 4-3.세계도시전자정부협의체(WeGo) 활동
1-4.영상정보 인프라 구축 2-4.중소기업 정보보호서비스 지원 3-4.스마트시티사회적약자 지원 시스템 구축 4-4.스마트시티 업무연속성 국제인증 관리
1-5.시민안전 통합관제상황실 운영 2-5.충청권 공공기관 정보보호 협의회 운영 3-5.스마트워터 시티 구축 4-5.천안-세종간 BIS시스템 구축

정보화 예산 현황

사업 총괄

  • (대상사업) 51건 / (소요예산) 229억 원































정보화 예산 현황 사업 총괄
구 분 신규사업 계속사업 유지관리 전년대비
사업 건수 51건 12 35 4식 5건 증가
소요예산(억원) 229억 원 75 106 48 88억 원 증가

※ 2018년도 市 전체 예산 1조 5,033억원의 1.5% 수준(순수 시비는 1.1%)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구 분 합 계 국 비 LH 등 기타 시비
합 계 22,942 3,020 3,418 16,504
행복한 주민의 삶 실현 8,179 697 - 7,482
공감과 참여의 공동체 형성 108 - 68 40
최첨단(ICT) 기반 구축 9,535 1,775 3,250 4,510
빛나는 미래도시 구현 5,096 548 100 4,472

2017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5.

비전

안전하고 편리한「스마트행정」구현

목표


  • 안전하고 신뢰받는 정보화기반 활용으로 시민이 행복한 생활정보 서비스 확충

추진전략


    1 시민중심의 생활정보 서비스 확충


    2 ICT 환경 변화에 맞는 U-서비스 구현


    3 복지정보화 지원을 통한 건전한 정보문화 정착


    4 안전하고 신뢰받는 정보화 기반 강화


여건


  • 시정 2기 100대 과제와 공약사업 등을 차질없이 추진해야 하는 시기로 살기 좋은 세종시 조성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와 기대 증가 시민 체감형 U-서비스의 지속적인 발굴・확충 필요

  • ICT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기술의 변화에 대응한 미래 지향적 중장기 종합대책 시급

전략과제 및 중점 추진과제

































전략과제 및 중점 추진과제
전략 목표 중점 추진과제 건수
1. 시민중심의 생활정보 서비스 확충
  • 1-1. 세종시 탄생과정 기록 온라인 전시관 구축

  • 1-2. 수영장 회원관리시스템 구축

  • 1-3. 정책고객 소통시스템 이용 활성화

  • 1-4. 광역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

  • 1-5. 로컬푸드 직매장 관리시스템 개선

5건
2. ICT 환경 변화에 맞는 U-서비스 구현
  • 2-1. VOC 기반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개발

  • 2-2. 세종시 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 2-3. 세종 U-City 협업ㆍ지원체계 강화

  • 2-4. 영상정보인프라(CCTV) 구축ㆍ운영

  • 2-5. 스마트서비스 국내·외 협력기반 강화

5건
3. 복지정보화 지원을 통한 건전한 정보문화 정착
  • 3-1. 사회적 약자 지원서비스 구축

1건
4. 안전하고 신뢰받는 정보화 기반 강화
  • 4-1. 행정업무·인터넷 망 분리 사업

  • 4-2. 정보보안 및 정보보호 관리수준 강화

  • 4-3. 행정업무용 전산장비(SW포함) 보급 추진

  • 4-4. 재난 예·경보시설 확충 및 유지관리

  • 4-5. 정보통합센터 시설물 통합 운영관리

  • 4-6. 긴급구조표준시스템 고도화 사업

6건
※ 굵은 글씨는 시민을 위한 서비스

정보화 예산 현황

사업 총괄

  • (대상사업) 151억(신규 18억, 계속 114억, 기타(공공요금, 분담금 등) 19억)








































사업 총괄 테이블
구분 2016년 2017년 전년대비
신규 계속 신규 계속
사업건수 93개 15개 78개 46개 11개 35개 47건 감소
소요예산(억원) 141억 32억 109억 151억 18억 133억 10억 증가
※ 2017년도 세종시 본예산 9,840억원의 1.5% 수준

-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분야별 소요예산 현황 테이블
구분 합계 국비 시비
사업비 사업비 외
합 계 15,173 1,707 11,537 1,929
시민중심의 생활정보 서비스 확충 2,412 1,040 1,372
ICT 환경 변화에 맞는 U-서비스 구현 5,444 547 4,897
복지정보화 지원을 통한 건전한 정보문화 정착 291 120 171
안전하고 신뢰받는 정보화 기반 강화 5,097 5,097
기타(공공요금, 분담금 등) 1,929 1,929
2016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4.

비전

안전하고 편리한「스마트행정」구현

5대 전략목표 30개중점 이행과제



































































안전하고 편리한「스마트행정」 5대 전략목표 30개중점이행과제
전략 목표 1.개방과 소통으로 지역정보화 촉진 2.사이버침해 대응 및 정보보호 체계 강화 3.행정정보화 추진역량 강화 4.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을 통한 시민편익 도모 5.안전하고 편리한 최첨단 U-City 구현
중점
이행
과제
1-1.생생알통 정책고객 소통시스템 구축 2-1.정보보안업무 세부추진계획 수립 3-1.표준기록관리 시스템 고도화 4-1.마을방송장비 구축 및 유지관리 5-1.U-City업무연속성관리 국제인증 획득
1-2.의회 홈페이지 확대 개편 2-2.정보보안 업무담당자 역량강화 3-2.비전자기록물관리 프로그램 도입 4-2.119신고 확대시스템 구축 5-2.안전정보 시스템 시범운영
1-3.의회 전자회의 시스템 구축 2-3.정보보안 관리실태 지도·점검 3-3.공장설립 온라인지원시스템 운영 4-3.시정홍보 시스템 운영 활성화 5-3.공공자전거 대중교통 환승마일리지 시스템 개발
1-4.정보기술아키텍처 관리 및 활용체계 수립 2-4.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 취약점 개선 3-4.가로수 관리시스템 구축 4-4.민방위 경보단말기 설치 5-4.세종-공주 광역BIS 구축
1-5.공공데이터 개방 및 이용활성화 추진 2-5.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진단·평가 3-5.도시계획 정보체계 구축 4-5.안심마을 만들기 사업 5-5.세종 U-City 협업·지원체계 강화
1-6.시민 정보화 교육 2-6.개인정보처리시스템 이용·관리실태 점검 3-6.지하시설물 전산화 4-6.소방현장 영상전송 시스템 구축 5-6.시민안전 영상정보 시스템 구축·운영

2016년도 추진방향

여 건


  • 개방‧공유‧소통‧협업을 핵심가치로 하는 ICT기반의 정부3.0 구현 촉진으로 공공데이터 개방과 민간 데이터 연계·확산 가속화

  • 시정 3년차에 맞춰 각종 공약 및 100대 과제 추진 등 시민과 소통창구 기능 마련 및 활성화가 기대

  • 북한 및 IS 등의 사이버테러 위협이 날로 증가 추세로 보안활동 강화, 정보보호 시스템 및 전문 인력 확충이 요구

  • U-City 1단계 1·2차 사업 성과물 인수 운영2단계 1차 사업 본격 추진으로 스마트 도시 가치역량 제고가 필요

추진방향


  • 시민참여 생활밀착형 공공데이터 개방과 행정·시민 간 양방향 소통 채널 확보로 지역정보화 촉진

  • 지능화·고도화된 사이버 위협에 선제적 대응할 수 있는 사이버침해 대응 및 정보보호체계 강화

  • 날로 증가하는 정보화사업의 추진체계 정비 및 투자·성과 측정으로 행정정보화 추진역량 강화

  • 소외계층 및 취약지역에 정보통신 인프라를 확충하여 시민의 안전과 생활편익 도모

  • U-서비스 확충과 스마트 시티 국제 경쟁력 강화로 최첨단 U-City 구현

정보화 예산 현황

  • 세입 : 2,519백만원(국고보조 2,183 / 지역발전특별회계보조 290 / 부담금 46)
  • 세출 : 14,605백만원(국비 2,183 /지특 290 / 시비 12,086 / 부담금 46)
2015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3.

비전

안전하고 편리한「스마트행정」구현

5대 전략목표 30개중점 이행과제



































































안전하고 편리한「스마트행정」 5대 전략목표 30개중점이행과제
전략 목표 1.개방과 소통으로 시민참여 시정구현 2.안전한 정보보호체계 구축 운영 3.중단 없는 행정정보 서비스 기반 운영 4.정보통신 인프라를 활용한 시민편익 도모 5.안전하고 편리한 최첨단 U-City 구현
중점
이행
과제
1-1. 세종 ICT지원센터 운영 활성화 2-1.정보보안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 3-1.공공데이터 개방 포털시스템 구축 4-1.무선인터넷 이용격차 해소 5-1.도시통합 관제센터 운영
1-2.市 홈페이지 기능개선 및 유지관리 2-2.정보보호 책임자 지정 및 역할정립 3-2.정보화 사업예산 사전검토제 운영 4-2.중단 없는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 5-2.세종 U-City 협업·지원 체계 강화
1-3.인터넷 중독 대응사업 추진 2-3.정보보안 관리실태 지도점검 3-3.통계지도 활용모델 개발 4-3.정보통신 민원처리 고객만족 강화 5-3.대기측정망 설치 및 운영
1-4.공무원 정보화 역량 강화 2-4.개인정보보호 관리수준 진단 평가 3-4.민원 콜센터 운영 및 상담 DB구축 4-4.시민안전 영상정보 인프라 구축운영 5-4.세종-대전 첨단교통 관리시스템 구축
1-5.市 공식 블로그 운영 2-5.개인정보 영향평가 수행 3-5.지하시설물 전산화 4-5.신청사 종합방송 시스템 구축 5-5.방재시설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
1-6.의회 모바일 홈페이지 구축 2-6.개인정보 처리시스템 이용·관리 실태 점검 3-6.지하수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4-6.민방위경보통제소 구축 5-6.119 종합상황실 구축

2015년도 추진방향

여 건


  • 정부·민간 간 개방·공유·소통·협업을 위한 정부3.0에 따라 범국가적으로 시민 맞춤형 정보 발굴 및 서비스 확대 추진

  • 시정2기 시정방향에 맞춰, 각종 공약 및 100대 과제 추진 등에 시민과의 소통창구 기능 마련 및 활성화가 요구

  • 공공기관 보유정보 침해위협이 심화되어, 개인정보보호 및 사이버테러 대응체계의 내실화가 절실

  • 市청사 이전에 따른 정보화시설 및 방송통신설비의 완벽한 이전 설치로 무중단 대민행정서비스 제공 필요

추진방향


  • 市보유 공공데이터 개방과 온·오프라인 소통·협업 등을 강화하여 시민참여 시정 구현

  • 지능화·고도화된 사이버 침해에 선제적 대응할 수 있는 안전한 정보보호체계 구축 운영

  • 완벽한 市 정보시스템 이전과 재해복구체계 구축으로 중단 없는 행정정보서비스 기반 운영

  • 소외계층 및 취약지역에 정보통신 인프라를 확충하여 시민의 안전과 편익 도모

  • 각종 상황실 연계·통합과 U-서비스 추가반영으로 최첨단 U-City 구현

정보화 예산 현황

  • 세입 : 3,822백만원(국고보조 3,095 / 지역발전특별회계보조 662 / 부담금 65)
  • 세출 : 23,901백만원(국비 3,095 /지특 662 / 시비 20,079 / 부담금 65)
2014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2.

추진방향

안전하고 편리한『스마트행정』구현

여 건


  • 정부·민간 간 개방·공유·소통·협업을 위한 정부3.0에 따라 범국가적으로 시민 맞춤형 정보 발굴 및 서비스 확대 추진

  • 모바일기기 보편사용, 다양한 인구계층 유입 등 환경변화로 시민편익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행정서비스 및 정보통신 인프라 확충 요구가 지속

  • 공공기관 보유정보 침해위협이 심화되어, 개인정보보호 및사이버테러 대응체계의 내실화가 절실

  • 단계별로 추진되는 U-City 사업의 첫 인수·운영의 해로 실질적인 스마트도시 기반을 구축하는 중요한 시기

이행과제


    1 시민중심의 정보화서비스 확충·제공


    2 스마트 행정정보 서비스 기반 마련


    3 시민편익 향상 기반이 되는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4 안전하고 신뢰받는 사이버 공간 확보


    5 「첨단정보 U-City」 사업의 내실화


정보화 예산 현황

  • 세입 : 383(국고보조 41, 광특보조 342) * ‘13년 185백만원
  • 세출 : 5,543백만원(국비 41, 광특 342, 시비 5,160) * ‘13년 3,473백만원
2013년도 정보화 시행계획 1.

추진방향

세종시 균형발전을 뒷받침 하는 스마트 행정 구현

여 건


  • 정부기관 공무원 등 신규유입 시민생활이 본격화되는 실질적 원년으로 행정·생활 등 다양한 정보서비스 욕구 급증 예상. 이와 함께, 저출산·고령화 심화와 다문화 가정 증가로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지원요구도 증대될 전망

  •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확산에 따라 공공무선랜(Wi-Fi) 등 시민편익 향상을 위한 정보통신 인프라 확충 필요

  • 광역지자체 위상에 맞는 정보보호 능력 확충요구 증가 예상

  • 또한, U-City센터 및 관련시설물의 단계적 준공으로 인수․운영 점검 등 도시정보화 관리체계 구축 단계 진입

이행과제


    1 스마트한 맞춤형 정보서비스 제공


    2 수준 높은 행정정보서비스 제공


    3 신기술 기반의 정보통신서비스 인프라 조성


    4 안전한 시정을 위한 정보보호 체계 강화


정보화 예산 현황

  • 세입 : 185백만원(국고보조 75, 광특보조 110)
  • 세출 : 3,473백만원(국비 75, 광특 110, 시비 3,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