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공공기관 이전 |
---|---|
목적·배경 | 파리와 여타지역과 불균형해소 |
추진기간 | 1991∼현재 |
특기사항 | 78개 도시, 170개 기관, 13,000여명 이전 계획 |
목적
프랑스에서는 파리와 파리이외 지역 간의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실질적인 대안으로서 정부기관 이외의 공공기관을 전국 각 도시로 이전하는 정책을 시행
내용
’91년 크레송 총리가 공공기관의 강력한 지방분산시책을 도입하기로 하고 국토개발청(DATAR)의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는 정책을 시행
유형 | 공공기관 이전 |
---|---|
목적·배경 | 런던의 과밀 완화 |
추진기간 | 1962∼현재 |
특기사항 | 1988년까지 4만여명 이주 |
목적
영국은 런던의 과밀을 완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공공기관의 분산시책을 추진
평가
2001년 현재 영국 공무원 전체 인원 중 2/3 이상이 런던 및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 근무
유형 | 공공기관 이전 |
---|---|
목적·배경 | 스톡홀름의 과밀 해소, 지역균형발전을 도모 |
추진기간 | 1969∼현재 |
특기사항 | 1988년까지 16개 도시, 7,300여명 이주 |
목적
스웨덴은 수도인 스톡홀름의 과밀을 해소하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공기관의 이전을 추진
내용
’69년 정부에 지방분산위원회를 설치하여 중앙정부와 국회는 남기고 행정효율성에 지장이 없는 기관을 이전하기로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