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수도완성

세종시 현황

정부조직 내 세종시 이전 부·처(‘22.12.말 기준)

중앙행정기관 : 47개 기관(중앙 23, 소속24)
중앙행정기관 현황 : 중앙행정기관 22본부, 소속기관 22개의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행정기관(23)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행복청,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법제처, 국민권익위원회, 국세청, 인사혁신처, 소방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기업벤처기업부
소속기관(24) 조세심판원, 복권위원회사무처, 중앙토지수용위원회,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중앙해양안전심판원,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중앙노동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보훈심사위원회, 교원소청심사위원회, 해외문화홍보원, 경제자유구역기획단, 광업등록사무소, 무역위원회, 전기위원회, 우정사업본부, 한국정책방송원, 소청심사위원회, 정부청사관리본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회, 대통령기록관, 산업안전보건본부
국책연구기관 : 16개 기관
국책연구기관 현황 : 국책연구기관 현황의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토연구원, 건축도시공간연구원
공공기관 : 9개 기관
공공기관 현황: 공공기관 현황의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항로표지기술원, 축산물품질평가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축산환경관리원,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창업진흥원,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지자체 세종사무소 : 35개 기관
지자체 세종사무소 현황 : 광역별, 기초별 지차제 세종사무소 현황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광역 (13) 제주특별자치도(연기면, ’13.7), 충청북도(도담동, ’12.12), 경상북도(어진동, ’14.1), 광주광역시(어진동, ’14.10), 전라남도(도담동, ’14.11), 강원도(도담동, ’13.3), 부산광역시(오송, ’14.10), 대구광역시(어진동, ’15.4), 울산광역시(어진동, ‘15.7), 인천광역시(어진동, ’16.1), 전라북도(어진동, ‘16.7), 경상남도(어진동, ‘18.8), 충청남도(소담동, ‘19.1)
기초 (22) 수원시(조치원읍, ’13.11), 당진시(연서면 ’14.3), 춘천시 등 강원도 11개 시군(도담동, ’15.1), 포항시(어진동, ’15.1), 전주시(어진동, ’15.1), 순창군(한솔동, ’15.1), 청주시(종촌동, ’15.2), 진천군(어진동, ’15.3), 여수시, 강진군, 장흥군, 영암군(한솔동, ’15.2)

세종시현황

출범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눈에 만나는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특별자치시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정.공포(2005.5.18)
  • 행복도시명칭 '세종시' 확정 (2006.12.21)
  • 세종시설치등에관한특별법 공포(2010.12.27)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2012.7.1)
    • 종전의 충청남도 연기군 전체
    • 종전의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5개리·장기면 11개리·반포면 5개리 일원
  • 중앙행정기관 1단계 이전 시작(2012.12월)
  • 중앙행정기관 및 국책연구기관 3단계 이전 완료(2014.12월)
  • 인사혁신처, 국민안전처 등 4단계 이전 완료(2016.9월)
  •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통부 등 5단계 이전 완료(2019.8월)
  •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근거법 '국회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2021.9.28)
  • 대통령 세종집무실 근거법 ’행복도시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2022.5.29.)
세종특별자치시, 인구 388,927명
POPULATION 세종시 총 인구 388,927
  • 158,844 2014
  • 214,364 2015
  • 246,793 2016
  • 284,225 2017
  • 319,066 2018
  • 346,275 2019
  • 360,907 2020
  • 376,779 2021
  • 388,927 2022
2022년 하반기 기준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전/후 세종의 변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전 2022년 하반기 기준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전/후 세종의 변화-구분, 출범(‘12년), 현재(‘22년 하반기), 증감으로 구성
구분 출범(‘12년) 현재(‘22년 하반기) 증감
인구수 10만명 39만명 29만명
세대수 4만2천세대 15만 9천세대 11만 7천세대
예산규모 3천7백억 2조 1조6천3백억
사업체 5천2백개 2만8천4백개(2020년 말 기준) 2만3천2백개
의료기관 86개 402개(2021년 말 기준) 316개
학교수 57개 175개 118개
세종시 생활권 단계별 계획
세종시 생활권 단계별 계획 : 1~3단계별 내용
1단계/초기단계(2007~2015) 2단계/성숙단계(2016~2020) 3단계/완성단계(2021~2030)
1단계/초기단계(2007~2015)
중앙행정기관 이전 및 도시 인프라 확충을
통한 성장기반 조성
18부 중 14부 세종시 위치 (정부조직개편 이후)
목표인구 15만명
2단계/성숙단계(2016~2020)
대학/연구기능 등 도시자족기능
본격운용 및 도시인프라확충
목표인구 30만명
3단계/완성단계(2021~2030)
도시 기능 및 기반시설 등이
성숙단계를 거치면서 도시의 완성
목표인구 50만명
목표인구 15만명 목표인구 30만명 목표인구 50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