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홈
로그인
회원가입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수도완성
전체메뉴
전체메뉴
행정수도
행정수도 팩트체크
행정수도 추진일지
왜 행정수도인가?
행정수도관련 발언
대통령
역대대통령
대선후보
유력인사
해외사례
신 행정수도 건설
정부부처 분산이전
공공기관 이전
행정수도 건설 고려
국가별 주요 도시 기능 사례
세종시 현황
세종시 현황
홍보자료
언론보도
국가균형발전토론
홍보동영상
홍보책자
여론조사
한국리서치
윈지코리아컨설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세계행정도시연합
세종 특별자치시
로그인
회원가입
SNS
페이스북
밴드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
트위터
행정수도
행정수도 팩트체크
행정수도 추진일지
왜 행정수도인가?
행정수도관련 발언
대통령
역대대통령
대선후보
유력인사
해외사례
신 행정수도 건설
정부부처 분산이전
공공기관 이전
행정수도 건설 고려
국가별 주요 도시 기능 사례
세종시 현황
세종시 현황
홍보자료
언론보도
국가균형발전토론
홍보동영상
홍보책자
여론조사
한국리서치
윈지코리아컨설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세계행정도시연합
닫기
창조와 도전의 미래전략수도 세종
행정수도 아이콘
왜 행정수도인가?
추진일지 아이콘
추진일지
해외사례 아이콘
해외사례
홍보자료 아이콘
홍보자료
이전
1
/
5
다음
멈춤
시작
카드뉴스 |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수도 팩트체크
카드뉴스 |
행정수도란?
카드뉴스 |
왜, 행정수도인가?
카드뉴스 |
어떻게 행정수도를 완성할 것인가?
카드뉴스 |
행정수도에 대한 우려와 대응
행정수도 관련 발언
전체보기
박병석 국회의장
2022.1.6. 국회 신년 기자회견
“국민 통합으로 가는 길은 개헌” “여야 대선 후보들은 개헌에 대한 입장을 밝혀 국민의 판단을 받길 바란다” “단계적인 개헌도 한 방법” “개헌논의를 밀도 있게 추진하면 올 6월 지방선거와 함께 합의된 부분을 국민투표에 부칠 수 있을 것”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는 정치인이라면 개헌과 관련한 논의를 만들어가야 한다. 개헌이 필요하다고 하면서도 실천에 옮기지 못하고 있다” “확고한 신념이 필요하다”
자세히보기
김태년 국회의원
2020.7.20. 제380회 국회(임시회) 국정에 관한 교섭단체대표연설
"다시 한번 균형발전을 위한 새로운 모색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저는 행정수도를 제대로 완성할 것을 제안합니다. 길거리 국장, 카톡 과장을 줄이려면 국회가 통째로 세종시로 이전해야 합니다. 아울러 더 적극적인 논의를 통해 청와대와 정부부처도 모두 이전해야 합니다. 그렇게 했을 때 서울․수도권 과밀과 부동산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보기
이인영 통일부장관
2019.10.28. 정기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국회 세종의사당 추진을 비롯해 2차 공공기관과 공기업 이전을 추진하겠다."
자세히보기
이낙연
전 국무총리
2017.7.22 착공 10주년, 시 출범 5주년 기념식 – 세종 호수공원
"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차질 없이 세종시로 이전하겠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연방제에 준하는 지방분권과 골고루 잘 사는 균형발전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해갈 것입니다."
자세히보기
이해찬
전 국회의원, 전 국무총리
2019.2.22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회의 - 세종시청
"중앙행정기관의 3/4이 옮겨왔고 2월 중에 행안부가 옮겨오고, 8월에 과기정통부까지 이전하면 외교·국방을 제외한 나머지 부처는 세종시로 다 모인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앞으로 세종시 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을 건립하게 되면 사실상 행정수도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
자세히보기
이전
다음
행정수도 관련
사이트
국가균형발전 토론
오늘의 세종
세계행정도시연합
역대 대통령의 행정수도 관련 발언
이전
2017
문재인 대통령
세종시를 실질적 대한민국 행정수도로 만들겠습니다.(문재인 대통령 선거공약서 )
(’17.2월 )
2009
박근혜 대통령
"세종시 문제는 수없이 토의했고, 선거 때마다 수없이 약속한 사안이다. 원안에다 수정이 필요하다면 플러스 알파가 돼야 한다."
(’09.10월 )
2007
이명박 대통령
"행정도시 건설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다. 걱정 안해도 된다."
(’07.3월 )
2002
故
노무현 대통령
한계에 부닥친 수도권 집중 억제와 낙후된 지역경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 충청권에 행정수도를 건설하겠습니다.
(’02.9월 )
1998
故
김대중 대통령
8개 청이 대전으로 옮겨가는데, 지방화와 국토의 균형발전 그리고 수도권 비대를 방지하는 것 등의 큰 의미가 있습니다.
(’98.7월)
1992
故
김영삼 대통령
11개 중앙행정기관을 대전으로 이전해 대전을 제2의 행정수도로 만들겠습니다.
(’92.10월)
1977
故
박정희 대통령
서울의 근본문제가 인구의 증가에서 비롯됩니다. 따라서 서울의 인구집중을 억제하는 가장 확실한 방안은 행정수도 이전입니다.
('77.2월')
다음
전체 내용보기